[여의도풍향계] '2인자의 비애'…총리 출신 대권의 꿈, 이번에는?<br />[명품리포트 맥]<br /><br />'일인지하 만인지상', 한 사람 아래 있고 만인의 위에 있다는 뜻인데요.<br /><br />오늘날엔 국무총리를 뜻하는 표현으로 쓰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과거 많은 총리들이 재임 중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유력 대권주자로 떠올라 대권 도전에 나서기도 했지만, 번번이 문턱 앞에서 좌절했습니다.<br /><br />'일인'이 되지 못한 채 만인지상의 자리에 만족해야 했던 겁니다.<br /><br />박정희 정부의 3공화국 이후 대통령 직선제에서 총리 출신으로서 대권을 잡은 사람은 아직 한명도 없습니다.<br /><br />79년 당시 박정희 대통령 서거로 대통령 권한대행이 된 최규하 총리가 제10대 대통령에 올랐지만, 유신체제 하에 '체육관 선거'로 뽑힌 간선 대통령이었습니다.<br /><br />총리 출신으로 대권을 꿈꿨던 대표적인 인물은 풍운아 김종필 전 총리입니다.<br /><br />처삼촌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견제 속에서 대권을 넘봤던 김 전 총리는 직선제로 치러진 87년 공화당을 꾸려 대선에 나섰으나 패했습니다.<br /><br />강고해진 지역주의 구도에서 한계를 깨달은 김 전 총리는 내각제를 고리로 킹메이커로 변신하면서 1인자 자리에 도전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김영삼, 김대중 전 대통령은 막상 권력을 잡자 김 전 총리와의 내각제 합의를 파기했습니다.<br /><br />군소 야당의 총재로 전락한 김 전 총리는 결국 2004년 총선에서 10선 고지에 오르지 못하고 정계를 떠나면서 '영원한 2인자'로 남게 됩니다.<br /><br />대법관과 감사원장을 거쳐 국무총리까지, 화려한 엘리트 코스만 달린 이회창 전 총리가 단 하나 품어보지 못한 건 대통령의 자리였습니다.<br /><br />이 전 총리는 대통령의 방탄 또는 대독 역할을 하는 기존의 총리 관행에서 벗어나 소신 행보를 보이며 주목 받았습니다.<br /><br />김영삼 전 대통령과의 갈등 끝에 경질됐지만 오히려 대쪽 이미지로 국민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기며 정치적 날개를 달았습니다.<br /><br />15대 총선 당시 신한국당의 선대위원장으로 정계에 입문했고, 차기 대선 후보로 뽑히며 대권을 눈앞에 뒀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인제 전 의원의 탈당과 김대업 병역의혹 조작사건으로 김대중, 노무현 후보에게 석패했고, 2007년 대선에도 출마했지만 3위에 그쳤습니다.<br /><br />고건 전 총리는 박정희 정부에서 전남도지사와 청와대 정무수석, 전두환, 노태우 정부에서 교통부 농림부 내무부 장관과 서울시장, 김영삼 정부에서 총리를 지낸 우리나라 엘리트 관료의 상징적 인물입니다.<br /><br />노무현 정부 출범 때 다시 총리로 기용된 고 전 총리는 노 전 대통령 탄핵안 가결로 권한대행을 맡아 국정을 안정시키면서 유력 대권주자로 떠올랐습니다.<br /><br />총리직을 그만둔 뒤로 중도실용 정치를 표방하며 신당 창당 의사를 밝히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노 전 대통령이 "실패한 인사"라고 혹독한 평가를 내려 큰 내상을 입었고, 결국 공무원 출신 특유의 한계를 드러내며 대권의 뜻을 접고 말았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여의도에선 박근혜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총리를 지낸 두 인물의 대권 가도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와 민주당 소속인 이낙연 총리입니다.<br /><br />퇴임과 함께 정치판에 복귀하는 이 총리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호도 1위를 달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안희정, 김경수, 이재명 등 여권 잠룡들의 수난 속에 유력한 대안으로 부각된 이 총리는 총선에서 당 선대위원장직을 맡을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정운영을 안정적으로 뒷받침했다는 평가 속에서 당내 세력기반이 약한 점이 단점으로 꼽히자 정면돌파 의지를 밝히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법무부장관과 총리를 지낸 황교안 대표.<br /><br />이회창 전 총리처럼 정치 신인임에도 곧바로 당 간판을 꿰차며 화려하게 정계에 입문했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정부와 대립각을 세운 채 장외투쟁을 비롯해 삭발, 단식 등 강성 행보로 지지층 결집에 나서면서, 비교적 빨리 입지를 다졌다는 평가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박근혜 정부 실정의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한 데다, 공안검사 출신으로 외연 확장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현실입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민주당 정세균 의원도 국회의장 출신으로는 처음 국무총리 후보에 지명되면서 총리 대망론에 가세했습니다.<br /><br />당내에서는 이낙연 총리, 당밖에선 황교안 대표의 벽을 넘을 수 있을지를 두고는 전망이 엇갈립니다.<br /><br />1인자를 조력하고 때로는 견제하던 역대 총리들은 정치판에 뛰어들면 새로운 도전을 뚫고 나서야했습니다.<br /><br />안으로는 계파 정치를 통해 자기 세력을 구축해야 했고, 밖으로는 이미지 정치로 관심도를 끌어 올려야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그들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지만 모두 다 실패해 2인자의 흑역사만 추가했습니다.<br /><br />한국 정치에서 2인자라는 자리는 1인자의 실정 책임을 공유하는 데다 역동적 변화를 원하는 특유의 국민정서 탓에 마이너스라는 평가가 많습니다.<br /><br />총리 출신들이 실패로 점철된 2인자 프레임을 뚫고 대권을 쟁취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여의도 풍향계였습니다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